반응형
조경은 서양뿐만 아니라 동양에서도 오랜 역사와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달해왔다. 동양의 조경은 자연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상적 의미와 인간의 삶을 담아내는 예술로 발전하였다. 본 글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의 시대별 조경의 특징을 살펴보고, 각 나라가 지닌 독창적인 정원 문화를 정리한다.
1. 중국 조경
1-1 중국정원의 특징
-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기보다 자연과의 대비에 중점
- 자연경관을 그대로 모사하는 자연식 정원 발달
- 풍경 안에 철학적·사상적 의미를 담은 사의적 조경
- 직선과 곡선의 조화를 통한 조형미
- 태호석을 이용한 석가산 기법
- 스케일이 크고 웅장한 공간
1-2 시대별 중국조경
- 주나라 (BC 300~250) : 과수 동산(원), 곡식 밭(포), 금수원(유) 등 실용적 성격의 정원
- 진나라 (BC 249~207) : 아방궁, 난지궁 같은 대규모 궁원, 연못과 섬을 축조
- 한나라 (BC 206~AD 220) : 상림원, 태액지원 같은 대규모 수경 시설 발달
- 당나라 (618~906) : 온천궁 정원, 장한가 배경의 화려한 궁정정원, 민간 정원 발달
- 송나라 (960~1279) : 경원궁, 원지, 영주 온지원 등 사상성이 짙은 궁원 정원
- 원나라 (1271~1368) : 만목원, 사자림 등 민간정원 발달
- 명나라 (1368~1644) : 북경 자금성, 이화원, 졸정원 등 궁정·민간정원 전성기
- 청나라 (1616~1911) : 원명원, 원림, 열하피서산장 등 자연 풍경과 궁정 건축의 절정기
2. 일본 조경
2-1 일본정원의 특징
- 기교보다는 자연 풍경을 축소해 재현하는 데 주력
- 기능성보다는 철학적·상징적 의미 중시
- 불교와 신선사상 등 사상적 기반이 강함
- 돌, 모래, 이끼, 소나무를 활용한 간결한 미학
2-2 일본정원의 양식 변천
- 입천식 : 신선을 상징하는 산과 연못 구성
- 회유임천식 : 연못과 섬을 조성하고 다리를 놓아 산책하며 감상
- 축산고산수식 : 돌, 모래, 수목을 이용해 산수 풍경을 재현
- 평정고산수식 : 모래와 돌만으로 단순화된 풍경 표현 (가레산스이, 枯山水)
- 원주파임천식 : 다정원식과 혼합된 형태
- 축경식 : 실제 경관을 축소하여 정원 안에 재현
2-3 시대별 일본조경
- 아스카 시대 (593~709) : 불교 전래와 함께 신선사상 기반 정원
- 헤이안 시대 (794~1191) : 연못과 섬, 다리를 이용한 자연풍경 정원
-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 (1192~1573) : 선종 불교 영향, 가레산스이 정원 발달 (용안사, 대덕사)
- 모모야마 시대 (1573~1603) : 다정원식, 삼보원정원 같은 화려한 정원
- 에도 시대 (1603~1868) : 원주파임천식, 대규모 조경 발달 (게리쿤, 수학원)
- 메이지 시대 (1868~1912) : 서양식 조경 기법 도입, 히비야 공원 등 도시공원 탄생
3. 한국 조경
3-1 사상적 배경
- 은일사상 :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생활 추구
- 신선사상 : 불로장생, 신선세계 재현 (도교적 사상 반영)
- 풍수지리사상 : 산수의 배치와 입지 중시
- 음양오행설 : 음양과 오행에 따라 정원 구성
- 유교사상 : 안채·사랑채 분리와 정원 공간 구분
3-2 유형별 특징
- 궁궐정원 : 중국 조경 영향을 받아 대규모 배치 (창덕궁 후원, 경복궁 경회루)
- 주택정원 : 담장을 두르고 후원·텃밭·연못을 배치, 실용성과 심미성 공존
- 별서정원 : 은둔과 풍류를 즐기는 귀족 정원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 정원)
- 서원정원 : 유교 교육기관 주변에 형성된 정원
3-3 시대별 한국조경
- 고조선·삼국시대 : 동명왕릉, 안학궁, 임해전지 등 대규모 연못 조성
- 통일신라 : 임해전지, 포석정, 서라벌 별서 정원
- 고려시대 : 만석산, 궁궐 정원(대명궁, 개경 궁원), 별서원 등 발달
- 조선시대 : 창덕궁 후원, 경복궁 경회루, 담양 소쇄원, 부용동 정원
- 근대 이후 : 1897년 독립문 근처 탑골공원, 1967년 지리산 국립공원 지정
결론
동양의 조경은 단순히 자연을 아름답게 꾸미는 차원을 넘어, 사상적 의미와 인간의 생활 철학을 담아낸 공간 예술이다.
- 중국은 웅장한 궁원과 사의적 정원,
- 일본은 간결한 상징미와 불교적 사상,
- 한국은 풍수와 신선사상 기반의 자연 친화적 정원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처럼 동양 3국의 조경사는 시대와 사상이 반영된 문화유산으로, 오늘날에도 많은 교훈과 영감을 준다.
반응형
'조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 식물의 구조와 환경 요인 (3) | 2025.08.26 |
---|---|
도시를 숨 쉬게 만드는 조경계획과 공원·녹지의 모든 것 (3) | 2025.08.25 |
조경 계획의 기초와 과정: 쉽게 이해하는 정리 (1) | 2025.08.25 |
조경양식과 서양 조경사: 시대별 흐름과 대표 양식 (3) | 2025.08.25 |
조경의 정의, 발달, 특징, 대상, 수행 과정 그리고 학문적 특징 (3) | 202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