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경은 단순한 정원 가꾸기가 아니라 인류의 역사, 철학, 문화가 반영된 공간예술이다. 각 시대의 사회적·환경적 요인은 조경의 양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으며, 그 속에서 정형식·자연식·절충식이라는 세 가지 큰 줄기가 형성되었다. 본 글에서는 조경양식의 분류와 발생 요인, 그리고 서양 조경사의 발전 과정을 시대별로 살펴본다.
1. 조경양식의 분류
1) 정형식
대칭성과 기하학적 패턴을 강조한다. 권위와 질서를 상징하며 주로 궁전이나 성곽 주변에 조성되었다.
- 이탈리아 노단식 : 구릉지대에 계단식 정원 조성
-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 축을 중심으로 기하학적 패턴 확장
- 스페인 중정식 : 건물에 둘러싸인 사각형 공간 속 정원
2) 자연식
자연의 풍경을 축소하거나 그대로 모사한 형태로, 인위적 흔적을 최소화한다.
- 영국 회화풍경식 : 목가적 풍경을 그대로 재현
- 일본 고산수식 : 해안풍경을 축소하여 상징적 재현
3) 절충식
정형식과 자연식의 혼합.
- 중국·일본 회유임천식 : 산책하며 감상하는 방식
- 조선시대 정원양식 : 건물 배치에서는 정형식, 정원 구성은 자연식
2. 조경양식의 발생 요인
조경은 크게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 환경적 요인 : 지형, 기후, 토양
- 이탈리아의 구릉지형 → 노단식 계단정원
- 프랑스의 평탄지형 → 평면기하학식 정원
- 사회적 요인 : 역사, 종교, 민족성, 시대사조
- 기독교 확산 → 수도원 정원
- 이슬람 문화 → 물과 아라베스크 문양 활용
- 르네상스 인문주의 → 수학적 비례 강조
- 근대 산업혁명 → 도시공원과 전원도시 운동
3. 서양 조경의 전개
(1) 고대 조경
- 이집트 : 연꽃·파피루스 등 식물 활용, 장제신전(데르엘 바하리)과 묘지정원이 대표적.
- 서부아시아 : 바빌론의 공중정원, 파라다이스 가든. 대규모 수로와 테라스로 왕실 권위 표현.
- 그리스 : 주택정원(court), 성림, 체육관(gymnasium), 아고라(Agora, 교재에서는 Kagora로 표기).
- 로마 : 제1중정(atrium, 공적 공간), 제2중정(peristylium, 사적 공간), 후정(xystus). 포룸과 별장(villa)도 발달.
(2) 중세 조경
- 중세 유럽
- 기독교 건축 발달과 함께 수도원 정원이 형성.
- 8세기 이전 비잔틴 양식, 9~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 13~15세기 고딕 양식 구분.
- 약초원, 채소원, 과수원, 클로이스터 가든(명상 공간)이 등장.
- 이란
- 물을 상징 요소로 중시.
- 차하르 바그(Chahar-Bagh, 4분원식 정원).
- 아라베스크 문양 발달, 동물 조각은 금지.
- 스페인
- 알함브라 궁전 : 사자의 중정, 마리하 궁전, 창자르 중정, 수로의 중정 등 세밀한 수경 시설.
- 헤네랄리페 이궁 : 대규모 계단식 정원.
- 무굴 인도
- 제왕릉과 궁전을 중심으로 조경 발달.
- 타지마할 정원 : 대칭적 수로와 연못이 특징.
(3) 르네상스 조경
- 이탈리아
- 피렌체에서 시작, 인문주의와 수학적 비례 강조.
- 대표작 : 빌라 메디치(Villa Medici de Fiesole), 에스테장(Villa d’Este), 란테장(Villa Lante), 파르네제장(Villa Farnese).
- 프랑스
- 앙드레 르 노트르가 베르사이유와 보르비콩트를 설계.
- 평면기하학식 정원의 절정기.
- 독일·네덜란드
- 과학적 조경 발달, 식물원·학교원·실습원 조성.
- 네덜란드 : 토피어리(topiary) 기술 발달.
(4) 근현대 조경
- 영국
- 18세기 풍경식 정원 : 인위적 요소 최소화, 자연풍경 재현.
- 대표 인물 : 캔트(Kent), 브라운(Brown).
- 스토우 가든(Stowe garden), 스토우헤드(Stourhead)가 대표작.
- 프랑스
- 영국식 풍경정원 영향.
- 대표작 : 뽕띠 트리앙농(풍경식 정원의 대표 사례).
- 독일
- 식물학·생태학 발달.
- 바이마르 공원(괴테 설계), 무스코 정원, 분구원 제도(시민 실용정원).
- 미국
- 19세기 : 센트럴 파크(1857, 옴스테드·복스 설계), 세계 최초 국립공원 옐로우스톤(1872).
- 20세기 : 시카고 박람회를 계기로 도시미화운동 전개.
- 하워드의 전원도시론(1902) : 레치워스·웰윈 전원도시 실현.
- 레드번 계획도시(1928) : 미국식 전원도시 모델.
4. 조경사의 의의
조경은 단순한 조형 활동을 넘어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이다.
- 고대 : 신과 왕권의 상징
- 중세 : 종교적 명상과 실용성
- 르네상스 : 인문주의와 수학적 합리성
- 근현대 : 공공복지·생태적 가치
오늘날 조경은 환경 보전, 도시계획, 삶의 질 향상까지 포괄하는 종합 학문이자 예술로 발전하고 있다.
결론
조경은 정형식·자연식·절충식이라는 기본 구조 안에서, 시대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집트 장제신전에서 시작해 알함브라 궁전, 베르사이유 궁전, 그리고 센트럴 파크와 현대 전원도시에 이르기까지, 조경은 언제나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는 예술이었다.
반응형
'조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 식물의 구조와 환경 요인 (3) | 2025.08.26 |
---|---|
도시를 숨 쉬게 만드는 조경계획과 공원·녹지의 모든 것 (3) | 2025.08.25 |
조경 계획의 기초와 과정: 쉽게 이해하는 정리 (1) | 2025.08.25 |
동양 조경사: 중국·일본·한국의 시대별 특징과 정원양식 (3) | 2025.08.25 |
조경의 정의, 발달, 특징, 대상, 수행 과정 그리고 학문적 특징 (3) | 202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