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

동양 조경사: 중국·일본·한국의 시대별 특징과 정원양식

by springtany 2025. 8. 25.
반응형

한국 사찰 풍경 사진

 

 

조경은 서양뿐만 아니라 동양에서도 오랜 역사와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달해왔다. 동양의 조경은 자연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상적 의미와 인간의 삶을 담아내는 예술로 발전하였다. 본 글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의 시대별 조경의 특징을 살펴보고, 각 나라가 지닌 독창적인 정원 문화를 정리한다.

 

1. 중국 조경

1-1 중국정원의 특징

  •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기보다 자연과의 대비에 중점
  • 자연경관을 그대로 모사하는 자연식 정원 발달
  • 풍경 안에 철학적·사상적 의미를 담은 사의적 조경
  • 직선과 곡선의 조화를 통한 조형미
  • 태호석을 이용한 석가산 기법
  • 스케일이 크고 웅장한 공간

1-2 시대별 중국조경

  • 주나라 (BC 300~250) : 과수 동산(원), 곡식 밭(포), 금수원(유) 등 실용적 성격의 정원
  • 진나라 (BC 249~207) : 아방궁, 난지궁 같은 대규모 궁원, 연못과 섬을 축조
  • 한나라 (BC 206~AD 220) : 상림원, 태액지원 같은 대규모 수경 시설 발달
  • 당나라 (618~906) : 온천궁 정원, 장한가 배경의 화려한 궁정정원, 민간 정원 발달
  • 송나라 (960~1279) : 경원궁, 원지, 영주 온지원 등 사상성이 짙은 궁원 정원
  • 원나라 (1271~1368) : 만목원, 사자림 등 민간정원 발달
  • 명나라 (1368~1644) : 북경 자금성, 이화원, 졸정원 등 궁정·민간정원 전성기
  • 청나라 (1616~1911) : 원명원, 원림, 열하피서산장 등 자연 풍경과 궁정 건축의 절정기

 

2. 일본 조경

2-1 일본정원의 특징

  • 기교보다는 자연 풍경을 축소해 재현하는 데 주력
  • 기능성보다는 철학적·상징적 의미 중시
  • 불교와 신선사상 등 사상적 기반이 강함
  • 돌, 모래, 이끼, 소나무를 활용한 간결한 미학

2-2 일본정원의 양식 변천

  • 입천식 : 신선을 상징하는 산과 연못 구성
  • 회유임천식 : 연못과 섬을 조성하고 다리를 놓아 산책하며 감상
  • 축산고산수식 : 돌, 모래, 수목을 이용해 산수 풍경을 재현
  • 평정고산수식 : 모래와 돌만으로 단순화된 풍경 표현 (가레산스이, 枯山水)
  • 원주파임천식 : 다정원식과 혼합된 형태
  • 축경식 : 실제 경관을 축소하여 정원 안에 재현

2-3 시대별 일본조경

  • 아스카 시대 (593~709) : 불교 전래와 함께 신선사상 기반 정원
  • 헤이안 시대 (794~1191) : 연못과 섬, 다리를 이용한 자연풍경 정원
  •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 (1192~1573) : 선종 불교 영향, 가레산스이 정원 발달 (용안사, 대덕사)
  • 모모야마 시대 (1573~1603) : 다정원식, 삼보원정원 같은 화려한 정원
  • 에도 시대 (1603~1868) : 원주파임천식, 대규모 조경 발달 (게리쿤, 수학원)
  • 메이지 시대 (1868~1912) : 서양식 조경 기법 도입, 히비야 공원 등 도시공원 탄생

 

3. 한국 조경

3-1 사상적 배경

  • 은일사상 :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생활 추구
  • 신선사상 : 불로장생, 신선세계 재현 (도교적 사상 반영)
  • 풍수지리사상 : 산수의 배치와 입지 중시
  • 음양오행설 : 음양과 오행에 따라 정원 구성
  • 유교사상 : 안채·사랑채 분리와 정원 공간 구분

3-2 유형별 특징

  • 궁궐정원 : 중국 조경 영향을 받아 대규모 배치 (창덕궁 후원, 경복궁 경회루)
  • 주택정원 : 담장을 두르고 후원·텃밭·연못을 배치, 실용성과 심미성 공존
  • 별서정원 : 은둔과 풍류를 즐기는 귀족 정원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 정원)
  • 서원정원 : 유교 교육기관 주변에 형성된 정원

3-3 시대별 한국조경

  • 고조선·삼국시대 : 동명왕릉, 안학궁, 임해전지 등 대규모 연못 조성
  • 통일신라 : 임해전지, 포석정, 서라벌 별서 정원
  • 고려시대 : 만석산, 궁궐 정원(대명궁, 개경 궁원), 별서원 등 발달
  • 조선시대 : 창덕궁 후원, 경복궁 경회루, 담양 소쇄원, 부용동 정원
  • 근대 이후 : 1897년 독립문 근처 탑골공원, 1967년 지리산 국립공원 지정

 

결론

동양의 조경은 단순히 자연을 아름답게 꾸미는 차원을 넘어, 사상적 의미와 인간의 생활 철학을 담아낸 공간 예술이다.

  • 중국은 웅장한 궁원과 사의적 정원,
  • 일본은 간결한 상징미와 불교적 사상,
  • 한국은 풍수와 신선사상 기반의 자연 친화적 정원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처럼 동양 3국의 조경사는 시대와 사상이 반영된 문화유산으로, 오늘날에도 많은 교훈과 영감을 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