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6 조경양식과 서양 조경사: 시대별 흐름과 대표 양식 조경은 단순한 정원 가꾸기가 아니라 인류의 역사, 철학, 문화가 반영된 공간예술이다. 각 시대의 사회적·환경적 요인은 조경의 양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으며, 그 속에서 정형식·자연식·절충식이라는 세 가지 큰 줄기가 형성되었다. 본 글에서는 조경양식의 분류와 발생 요인, 그리고 서양 조경사의 발전 과정을 시대별로 살펴본다. 1. 조경양식의 분류1) 정형식대칭성과 기하학적 패턴을 강조한다. 권위와 질서를 상징하며 주로 궁전이나 성곽 주변에 조성되었다.이탈리아 노단식 : 구릉지대에 계단식 정원 조성프랑스 평면기하학식 : 축을 중심으로 기하학적 패턴 확장스페인 중정식 : 건물에 둘러싸인 사각형 공간 속 정원2) 자연식자연의 풍경을 축소하거나 그대로 모사한 형태로, 인위적 흔적을 최소화한다.영국 회화풍경.. 2025. 8. 25. 조경의 정의, 발달, 특징, 대상, 수행 과정 그리고 학문적 특징 1. 조경의 정의조경이란 한자어로 지을 조(造)와 경치 경(景)으로 표기한다. 문자대로의 의미로는 ‘경치를 만드는 행위’를 의미하며, 사전적 의미로는 '경치를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말한다. 또한 영어권에서는 ‘Landscape Architecture’라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직역하면 경관 건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정원을 조성한다는 gardening이라는 개념보다는 광범위한 대상을 다룬다. 이는 일반적인 정원 조성과 달리 도시, 자연, 문화유산 등 광범위한 대상을 포괄하는 전문 학문을 지칭한다. 한국조경학회(2013)는 조경을 “아름답고 유용하고 건강한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인문학적·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토지와 경관을 계획·설계·시공·관리하는 문화적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2. 조경의 발달 과정조경은.. 2025. 8. 24. 이전 1 2 3 4 5 다음